맞춤형 행복정책은 개인별 행복검사가 출발점
상태바
맞춤형 행복정책은 개인별 행복검사가 출발점
  • 차미경 기자
  • 승인 2019.03.18 10:42
  • 수정 2019-03-18 10: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연구원, ‘인천시 미추홀구 행복 분석’ 연구 결과
 

인천연구원(원장 이용식)은 2018년 기초연구과제로 수행한 ‘인천시 미추홀구 행복 분석’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통계청이 지역통계컨설팅으로 수행한 ‘2017년도 제1회 미추홀구 사회조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미추홀구의 행복도는 평균 5.7점(최저 0, 최대 10)으로 나타났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미혼 또는 배우자 있는 경우가 사별이나 이혼보다, 그리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학익1동이 평균 6.9점으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용현3동은 4.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전체의 18%를 차지하는 행복수준 4점 이하를 행복취약계층으로 설정해 소득수준별 심층분석을 실시했다.

행복취약계층 중에서 월평균가구소득이 500만 원 이상 고소득자는 전체 표본의 1.0%이다. 이들은 개인적, 경쟁적 방식의 행복찾기를 선호하는 집단으로, 물질주의 가치관이 저행복에 가장 큰 장애인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 여유가 없고 이해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공동체성 및 지역사회 관심이 적고, 지역의 어려운 일을 도우려는 성향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가구소득이 200만 원 이상 500만 원 이하인 중간소득 행복취약계층은 전체 표본의 8.8%를 차지하며, 행복하지 못한 것이 상당 부분 자신이 아닌 외적인 곳에 원인이 있다는 인식체계를 소유하고 있었다. 공공성이나 공공의 이해관계를 위해 봉사나 참여하려는 의향은 높지 않으며, 사회나 정책에 관한 긍정도가 낮았다. 또 자신의 능력에 대한 합당한 대우를 사회로부터 받고 있지 않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정의, 기회균등, 실질적 형평성, 노동조건, 부의 분배가 합리적이고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했느냐가 이들 집단의 인식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가 이들에게 소득 증대 지원책을 적용하는 것은 큰 효과를 기대하기 쉽지 않으리라고 분석했다.

다음으로 월가구 소득이 200만 원 이하인 저소득 저행복군은 전체 표본의 7.0%이며 평균연령이 61.6세로 연령효과가 저행복의 주원인이다. 노령층의 저행복에 대한 외적 요인은 노인 복지 불충분, 노인의 사회적 가치 저평가 풍조, 가족관계 해체, 배우자 불화 등 매우 다양할 것으로 조사됐다. 노령층이 다수인 이 집단에 현금성 지원을 하는 것은 행복 제고에 상대적으로 일정 정도 유익할 수 있지만, 현금과 더불어 주거시설과 건강관리로 재정지원을 분배하는 것이 행복 효율성을 위한 합리적 방식이 될 것이라 예상했다.

소득은 주택, 건강, 가족, 신뢰 등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큰 요인들을 친행복적으로 유지하는 데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다는 점이 분석결과 나타났다. 소득이 일정 정도 올라가면 소득과 행복이 비례하는 강도가 확연히 떨어지거나 정체 또는 일관성이 없어지는 것이 드러났다. 다만, 저행복집단의 경우 소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주택만족도와 건강만족도에 이어 크게 나타났다. 즉, 소득의 행복 영향력은 저행복저소득집단에서 극대화될 수 있다. 돈은 가난한 사람의 행복을 올려줄 가능성은 크지만, 부자의 행복을 높이는 데는 별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기존 주장을 분석결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천연구원 조승헌 연구위원은 “본 과제에서 분석한 사회조사는 지역 관점에서 행복을 들여다보는 데는 유익하다. 하지만 개인별 행복은 성향, 관계, 상황에 따라 다양하므로 지역 단위 조사와 더불어, 개인별 행복검사를 통합적으로 분석할 때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행복정책과 개인별 대응이 가능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보고서는 연구원 홈페이지(http://www.ii.re.kr/)의 메인메뉴 중 “연구원 간행물” - ‘연구보고서’ 메뉴에서 다운로드하거나, 미디어생활 자료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